목록IT/Linux (27)
인생사는 이야기
Linux 본딩 설정하기 본딩이란?한대의 서버에 여러개의 랜카드를 이용하여 대역폭 또는 예비 회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 속도의 분배및 대비책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윈도우에서는 티밍(teaming)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기술입니다. Bonding 종류 Mode 0 (balance-rr) balance-round robine ( 2개의 NIC을 순차적으로 분배 + Fault Tolerance) 회선이 2회선일 경우 트래픽을 같이 사용할 수 있어 대역폭을 분산시키는데 효율적입니다. [ A nic -> B nic -> A nic -> B nic 순] 으로 패킷을 분산 시키는 방법입니다. 또한, 장애허용으로 인하여, 한쪽 네트워크에 단절이 오더라도 이를 보안하는 기능이 존재 합니다.Mode 1..
insmod, rmmod, lsmod, modprobe 1. insmod : 모듈 적재, 커널 디렉토리를 뒤져서 해당 모듈을 적재한다.형식 : insmod [옵션] [오브젝트파일]옵션 : -k : autoclean 을 사용하여 적재 2. rmmod : 모듈 삭제형식 : rmmod [옵션] [모듈]옵션 : -r 의존관계에 있는 모듈을 한번에 삭제 3. lsmod : 적재된 모듈 출력(/proc/modules 를 참조한다)형식 : lsmod [옵션]옵션 : -V : lsmod 버젼 출력 4. modprobe : 모듈 적재, depmod에 의해 갱신된 modules.dep에서 찾아 적재한다. insmod와 달리 해당 커널 디렉토리로 갈 필요없이 아무위치에서나 모듈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의존성이 필요한 모듈..
L4상의 리얼 서버들의 vip 독점을 막기 위해 아래와 같이 커널 파라메터를 수정해 준다. loopback 올리기 전에 아래 내용을 수정 한다. # vi /etc/sysctl.conf ## DSR ARP_ignore net.ipv4.conf.lo.arp_ignore = 1 net.ipv4.conf.lo.arp_announce = 2 이 후 적용을 위해 # syscrl -p | sysct-w 입력하여 시스템 적용 loopback interface를 올려 준다.
1. root , 특정 사용자 접근제어 리눅스 시스템에 필요한 사용자 접근에 부분에 있어서는 제어할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 한다. ssh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경우 /etc/ssh/ sshd_config 파일에서 처리할수 있으나. PAM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접근을 막을수 있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root@localhost]#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yes PermitRootLogin no -> root로 접속을 막고 일반 사용자로 접속하여 시스템에 접속할수 있도록 설정한다. [root@/etc/pam.d]# vi /etc/pam.d/sshd #%PAM-1.0 auth required pam_listfile.so item=..
리눅스의 매직키란? 매직키는 시스템을 LOCK 하지 않은 상태 에서 시스템이 어떤 작업을 하는 중이라도 커널이 반응하는 키이다. 리눅스 시스템이 로드 부하로 인하거나 반응이 없을때 (키값이 인식이 안된다.) 강제 리부팅(POWER 버튼)을 하여 리부팅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치는 테이터 손실 뿐만 아니라 파일시스템에도 손상을 입히게 된다.(정상적인 종료시 언마운트 후 리부팅) 리눅스 시스템의 이상이나 , 오작동으로 시스템의 키보드 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을때 커널의 옵션 중 매직키는 시스템을 안전하게 재부팅 할 수 있는 유용한 커널 옵션이다. (윈도우로 따지자면 작업 관리자) 리눅스 매직키 활성화 시키기 리눅스의 매직키는 커널의 기능이므로 커널의 옵션을 사용 하여 커널 컴파일을 해야 한다. 시스템에서 매직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