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Linux (27)
인생사는 이야기
리눅스 실제 메모리 사용량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실제 우리가 리눅스 서버를 들어가서 top, meminfo로 확인 하였을때 이상 하게도 MEM 사용률이 거의 100% 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어 사용 top - 22:30:24 up 499 days, 2:07, 1 user, load average: 0.16, 0.15, 0.13 Tasks: 82 total, 1 running, 81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0.2% us, 0.2% sy, 0.0% ni, 98.3% id, 1.2% wa, 0.1% hi, 0.0% si Mem: 4138580k total, 3964304k used, 174276k free, 232448k buffe..
출 처 : http://kabangkle.tistory.com/19 이 글은 가방클님 블로그에서 퍼온 글입니다. System을 운영 하다보면 Hard disk의 장애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에 처할때가 간혹 있다. 어느날 갑자기 Log를 write 하는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 된다거나. 멀쩡한 파일을 read하는데 실패한다거나 하는 증상을 만나게 되면 Hard disk의 상태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Linux system에서 Hard disk를 점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Tool로는 smartctl 이라는 것이 제공된다. smartctl --all /dev/sda 1 Raw_Read_Error_Rate 0x002f 200 200 051 Pre-fail Always - 0 3 Spin_Up_Time 0x0027..
간혹 부팅시 라벨 관련되서 부팅이 안될때가 있다. 그럴땐 e2label을 사용하여 라벨을 똑같이 맞춰 준다. 라벨의 종류 디스크 라벨 : parted 출력에서 볼 수 있뜻이 파티션 테이블의 또 다른 이름 파티션 라벨 : 각각의 개별 파티션이 가진 이름을 의미 e2label : Usage : e2label device [newlabel] ex) [root@tes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99M 12M 83M 12% /boot /dev/sda2 1.5G 538M 863M 39% / /dev/sda8 55G 149M 52G 1% /home [root@test ~]# cat /etc/fstab # This file is e..
리눅스 한글 인식 리눅스 서버를 설치하여 부팅을 완료 하였는데 간혹 한글이 인식이 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제어판을 컨트롤 하여 한글 인식을 할수 있도록 해봅시다. ls -l, setup 이런 명령어를 사용하였을때 한글 부분만 깨져서 나옵니다. 먼저 확인 할 것은 /etc/sysconfig/i18n 파일내용을 보면 LANG="en_US.UTF-8"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UTF-8: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또는 LANG="en_US.UTF-8" 만 딸랑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을 아래 내용으로 변경 합니다.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
리눅스 컴퓨터 끼리 저장 공간을 공유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 NFS(Network File System)이다. 1. rpm -qa nfs-utils를 입력하여 설치 여부를 확인 하고 설치 되어 있지 않다면 yum -y install nfs-utils를 입력한다. 2.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ifconfig를 입력하여 IP주소를 확인 한다. 3. nfs server가 될 리눅스 서버에서 NFS 서버를 설정해 준다. 설정 파일은 /etc/exports이며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준다. /etc/exports 파일 --------------------- /폴더명 192.168.0.1(ro) 192.168.0.1 리눅스 클라이언트는 폴더에 읽기 전용의 접근 권한을 가진다. /폴더명 192.168.0.2(r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