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64)
인생사는 이야기
MySQL 사용을 하다보면 DB 데이터 축적에 따른 파일 시스템 사용 공간 이 부족하게 되는데 이것을 위해 처음 설치 후 DB 저장 위치를 다른 파티션으로 변경 할 수 있다. 예로 저장 위치가 /bum/mysql/data 라고 가정하자. 이것을 /data/ 의 위치로 변경 하고자 한다. 1. mysqld를 중지 한다. /etc/init.d/mysqld stop 2. DB 폴더를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긴다. cp -r /bum/mysql/data /data 3. 이동한 DB폴더 권한을 변경 한다. chown -R mysql.mysql /data 4. /etc/mysql/my.cnf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항목 수정을 한다. datadir=/bum/mysql/data --> datadir=/data 5..
1. root , 특정 사용자 접근제어 리눅스 시스템에 필요한 사용자 접근에 부분에 있어서는 제어할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 한다. ssh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경우 /etc/ssh/ sshd_config 파일에서 처리할수 있으나. PAM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접근을 막을수 있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root@localhost]#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yes PermitRootLogin no -> root로 접속을 막고 일반 사용자로 접속하여 시스템에 접속할수 있도록 설정한다. [root@/etc/pam.d]# vi /etc/pam.d/sshd #%PAM-1.0 auth required pam_listfile.so item=..
#!/bin/bash ### make by KimKB ### ### echo "###### mkdir ##############################################################" num=1 num2=10 echo " 장치명 /dev/xxx(뒤에 sdb,sdc 등.. 글자만 입력)???" read dev echo " 마운트 할 디렉토리 명(data,media : /없이 입력)??" read dr echo " 위 디렉토리 생성시 마지막 디렉토리의 숫자 입력 ex) /data60까지면, 입력 값 : 60" read num3 echo " 파일 시스템 타입을 적어 주세요(ext2,ext3,ext4)???" read fs echo " 디렉토리 생성 및 /etc/fstab 마운트..
리눅스의 매직키란? 매직키는 시스템을 LOCK 하지 않은 상태 에서 시스템이 어떤 작업을 하는 중이라도 커널이 반응하는 키이다. 리눅스 시스템이 로드 부하로 인하거나 반응이 없을때 (키값이 인식이 안된다.) 강제 리부팅(POWER 버튼)을 하여 리부팅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치는 테이터 손실 뿐만 아니라 파일시스템에도 손상을 입히게 된다.(정상적인 종료시 언마운트 후 리부팅) 리눅스 시스템의 이상이나 , 오작동으로 시스템의 키보드 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을때 커널의 옵션 중 매직키는 시스템을 안전하게 재부팅 할 수 있는 유용한 커널 옵션이다. (윈도우로 따지자면 작업 관리자) 리눅스 매직키 활성화 시키기 리눅스의 매직키는 커널의 기능이므로 커널의 옵션을 사용 하여 커널 컴파일을 해야 한다. 시스템에서 매직키..
일반 적으로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 fdisk를 많이 사용 하는데 fdisk로 파티션을 나누는 데는 최대 1.1TB 밖에 지원하지 못한다. 하여 우리는 서버를 사용하게되면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디스크를 RAID로 묶어 사용하는데 이렇게 되면 리눅스 상에서 우리가 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나누어 사용 할때 fdisk가 먹히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 parted에 대해 알아 보자 parted 란?? parted에 관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 man 페이지를 보았다. GNU Parted 는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이다. parted 는 파티션 관리 , 크기 변경 프로그램이다. parted는 파티션 생성, 삭제, 용량변경, 이동, 복사 를 지원한다. ext3, ext2, linx-swap,..